MotorCycle/입문자를 위한 글

오토바이를 타기전 알아야 할 기술 - 제동(brake)

BCOD 2023. 8. 3. 20:20

이 글은 브레이크를 바르게 잡는 것의 중요성 과 방법을 알게된다.

브레이크 잡기 중요성

잘 가고 잘 서는 것. 제일 기본이자 중요한 것이다.
이전에 잘 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바르게 제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몇가지만 유념하면 되기에 쉽지만, 알지 못한다면 사고가 날 수도 있다.

우선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뒷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잡는 비중

브레이크는 2개이다. 뒷바퀴( 리어 ) 와 앞바퀴( 프런트 ).
대부분의 경우에는 앞브레이크를 중요하게 본다.

비중에는 사람마다 취향 차이가 있겠지만,
나의 생각은 뒷바퀴 : 앞바퀴 = 4 : 6 이라고 생각하고 잡는다.
누군가는 3 : 7 , 2 : 8 로 보는데, 개인적 취향이고,
프런트를 더 세게 잡아야 한다.

스쿠터를 제외 하면 뒷 브레이크는 오른발로 누르게 되어있고,
앞브레이크는 오른손으로 잡게 되어있다.


순서

순서는 도로의 경사에 따라서 조금달라지는데,
대부분의 평지와 내리막 길에서는 뒤( 리어 ) 먼저 잡고
이어서 앞 ( 프런트 )을 잡는다.

뒤부터 잡는 이유는 제동을 하게되면 차체가 잡은 쪽으로 먼저 가라앉게 된다.
내리막이나 주행중에 프런트를 먼저 잡으면 순간적으로 앞으로 기울어져
고꾸라질 수 있다. ( 그것도 세게 잡을 경우에 그러지만 습관을 바르게 잡아야 한다.)

오르막에서는 그러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반대로 경사가 심하면,
리어 먼저 잡으면 차체가 뒤로 엎어질 수도 있다.

그러니 상황에 맞게 순서를 조정해서 잡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리어 먼저 잡고 바로 프런트 잡으면 감을 잡을 것이다.


브레이크 세기

핵심은 부드럽게 잡아야 한다. 마치 레몬은 쥐어짜듯이.

브레이크 또한 바이크마다 제동성능이 다르기에 연습을 해서
감을 익혀야 한다.

생각 이상으로 세게 잡으면 바퀴가 잠기는 경우가 생기는데,
바퀴가 잠기면 차체가 넘어 질 수 있다.

그러한 것들은 기술적으로 보완한 ABS기능이 있지만,
없는 차량도 있고,있어도 부드럽게 잡아야하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차체를 세운 상태에서 잡기

브레이크의 비중과 세기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차체의 기울기다.

핵심은 핸들을 일자로,차체 기울기를 평행한 다음에 제동을 하는 것이다.

주행을 하다보면 코너를 선회할때 제동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중요한 것은 코너 진입전 감속을 하고 도는 것이 좋고,
그럼에도 제동이 필요하면 살짝 세워서 제동을 하고,
다시 기울여서 코너를 탈출해야 한다.

속도가 있고 도로 상태가 좋다면 어느 정도 제동을 해도 괜찮으나
저속에서 선회를 해야 하는 경우에 제동을 잘못하면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클러치를 잡다가 조작 실수로 엔진이 꺼져 넘어질 수 있다.


바이크의 최대 제동 능력을 알고 있어야 한다.

급제동 연습을 해서 제동능력을 알고 있어야 한다.

돌발 상황이 발생하여 급제동을 해야하는 경우는
언제든지 생길 수가 있다.

그렇기에 차간 거리가 중요하고, 제동능력이 부족하면 차간 거리를 벌려도
뒤에서 박을 수 있다.
혹은 급제동을 안해봐서 우왕좌왕 하다가 박는 경우도 있다.

그렇기에 공터에서 속도를 내다가 급정지하는 연습을 해야한다.

나는 그것을 안하고 있다가 주행하는데 진입차선에서 갑자기 끼어들어
내 앞의 차량이 갑자기 멈추는 경우가 있었는데
박을 뻔했다.

다행히 차 옆으로 피해서 사고는 막았는데, 급선회 안했으면 사고가 났다.
그리고 그때 느낀 것은 내가 급제동을 안했구나라는 것을 느꼈다.

그러니 바이크를 타게 되면 공터에 가서
가속 과 제동 연습을 충분히 하고 익숙해진 다음에 주행하면
충분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요약

바르게 제동하는 방법

  • 브레이크는 리어 : 프런트 = 4 : 6 의 비율로 잡아라. ( 미세 조정은 자기 취향껏으로 )
  • 잡는 순서는 대부분 리어 먼저 잡고 프런트를 잡는다.
  • 제동은 부드럽게 잡아라. ( 레몬을 쥐어 짜는 느낌으로 )
  • 차체를 세운 상태에서 제동을 해라. ( 균형을 잃어 넘어질 수 있다. )
  • 제동 및 급제동 연습을 충분히 하자.

다음에는 카운터 스티어링에 대해 알아보자.

 

 

오토바이 타기전 알아야 할 기술 - 카운터 스티어링

모터사이클 꼭 배워야 하는 기술 2순위 이전 글에서 꼭 배워야 하는 기술. 가속과 제동을 바르게 하는 법을 알아보았다. 오늘은 그다음에 꼭 알아야 하는 기술인데 의외로 잘 모르는 기술인 카운

bcod.tistory.com

 

728x90
반응형